windows 7 공유설정 아무리해도 안될 때 , 조치 방법 피씨에 공유폴더를 만들고 노트북으로 해당 공유폴더를 접속하기 위해서 공유설정을 했다. 기본적인 설정은 대부분 한 것 같은데 접속이 안된다. 남들 다 접속하는 방식인... 시작 - 실행 - \\192.168.0.100 으로 접속을 시도했다. 그런데 접근이 안된다. 그래서 아래 처럼 탐색기에서 네트워크의 PC이름으로 찾아서 들어가니 접근이 된다. 뭔가 설정을 잘못 한 것 같은데.... 원인을 못 찾겠다. 아이피로 접근이 안된다면 피씨 이름으로 접근을 시도해보는 것도 방법이겠다.
인터넷익스플로어에서 "admin.masterad.co.kr" 광고가 뜰 때 조치방법 결론 : C:\Users\Administrator\AppData\Roaming\ralfsch 이 폴더를 삭제해주면 된다. Administrator는 자신의 PC 사용자명으로 변경해준다. ralfsch 폴더는 랜덤하게 변하는 것 같으니 만약 저 폴더가 없다면 최근 생성된 폴더로 정렬해서 찾아서 삭제해줍니다. 해당 폴더 안으로 들어가면 popup.dll 같은 파일들이 보일 것입니다. 증상 http://admin.masterad.co.kr/index.html?UID=CP22 같은 사이트가 먼저 뜨고 다른 광고페이지로 자동 포워딩되면서 이동된다. 그 상태에서 다른 광고 창이 또 뜬다.. 상당히 짜증난다. 삭제방법 그냥 삭제를 시..
VPS의 CentOS에 워드프레스 설치 총정리 필요사항 1. VPS 호스팅 2. 도메인 3. DNS 서비스 4. 워드프레스 설치와 관련된 제반사항들 VPS 추천사이트 램노드 , 호스트어스 도메인 등록사이트 국내 : http://www.hosting.kr/ , 해외 : http://www.mydomain.com/ DNS 서비스 https://www.cloudflare.com/ 땅과 집주소를 구했다면 이제 집을 지어 보겠다. 1. 웹서버설치 2. 디비설치 및 DB생성 3. FTP설치 선택사항 4. 워드프레스 설치 및 각종 설정 아래 글 참고해서 웹서버, 디비 설치 http://www.jaehak0123.com/archives/5557 yum upgrade yum groupinstall "Web Server"..
hostus.us VPS 호스팅에 워드프레스 설치 기존 블루호스트를 사용했지만 장기적으로는 개별 가상서버호스팅이 더 좋을 듯 하여 hostus.us 를 결제했다. http://www.jaehak0123.com/archives/5557 이 블로거의 글을 참고하니 금방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었다. centos 기준이다. Your Nameservers bruce.ns.cloudflare.com demi.ns.cloudflare.com DNS를 이용해야하는데 아무래도 타켓을 해외로 하기에 해외의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했다. 클라우드플레어닷컴 서비스를 이용 [root@localhost ~]# yum upgrade [root@localhost ~]# yum groupinstall "Web Server" [r..
SCX-3405W에서 MLT-D101S를 정품 토너로 인식을 못 할 때 조치 방법 펌웨어를 업데이트 해주면 해결된다., 펌웨어 시 정상적으로 안될 수도 있는데 그럴 때는 뒤의 유에스비 연결을 차단 했다가 다시 연결 후 시도 해본다. 펌웨어는 http://www.samsung.com/hk_en/support/model/SCX-3405W/XSS-downloads 여기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또는 http://l.bitcasa.com/dTJ738xp 여기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SCX3405W_V3.00.02.02_GCP 파일이 펌웨어 파일이다.
"새 시스템 파티션을 만들거나 기존 시스템 파티션을 찾을 수 없습니다." 대처 방법 windows 7 을 새로 설치를 하는데 전에는 잘 되었던게 이번엔 이상하게 "새 시스템 파티션을 만들거나 기존 시스템 파티션을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뿌리면서 안된다.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글들이 많다. USB에 ISO 파일을 툴로 복사해서 설치를 시도 했는데 분명 저번 포멧 전에 잘되던 노트북이 이번엔 안되었다. 증상은 usb 자체를 또 다른 하드로 인식한다는 것이 맞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모든 방법들을 해보았지만 안되었다.예) diskpart, ultraiso, usb뺏다고 다시 꼽기, 바이오스의 하드설정, 부팅 순서, 다른 usb로 시도 등등...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