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에서 PHP 5.4 에서 PHP 5.5 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구글링을 통해서 여러 번 시도 끝에 아래 글을 참고해서 업데이트에 성공했다. centos 6.* 기준으로 굵은 글씨를 따라가면 된다. http://www.shayanderson.com/linux/centos-5-or-centos-6-upgrade-php-to-php-54-or-php-55.htm 아래 명령어들은 기존에 설치된 버전을 삭제하고 5.4 버전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 yum 을 최신으로 설치하고 php5.4 관련 파일들을 설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 yum list installed | grep php # yum remove php.x86_64 php-cli.x86_64 php-common.x86_64 php-gd.x86..
hostus.us 에서 pptp vpn 사용하는 방법 - 국내외에서 pptp vpn 설치하는 방법대로 설치를 해보았지만 전부 설치되지 않았다. 아래 방법으로 최종 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 클라이언트 : windows 7 64비트 기준, 32비트도 될 것이다. 기존에 리눅스서버에 이미 설치를 시도했다면 삭제해주자. [root@VashChoi ~]# yum remove ppp pptpd -y [root@VashChoi ~]# rm -rf /etc/pptpd.conf [root@VashChoi ~]# rm -rf /etc/ppp/options.pptpd [root@VashChoi ~]# rm -rf /etc/ppp/chap-secrets 이미 설치된 패키지와 관련 설정파일들을 삭제해준다. 먼저 호스팅 관..
Realtek RTL8139/810x Family Fast Ethernet NIC , 랜카드 드라이브 막상 찾을려고하면 찾기가 힘들다. http://www.realtek.com.tw/downloads/downloadsView.aspx?Langid=1&PNid=14&PFid=6&Level=5&Conn=4&DownTypeID=3&GetDown=false 여길 참고.. WindowsThis product is covered b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atents:US5,307,459, US5,434,872, US5,732,094, US6,570,884, US6,115,776, and US6,327,625. If there is any further detailed informa..
office 15 click-to-run extensibility component 삭제방법 대부분 하위버전의 오피스에서 상위버전으로 설치 시 발생하는 증상인데.... 하위 버전을 깔끔하게 삭제하였다해도.. 이 찌거기가 있으면 상위버전이 설치가 안되는 것 같다. 32비트 설치 했다가 64비트로 설치할 때도 발생하는 증상 같다. http://www.learningsharepoint.com/2012/12/14/uninstall-office15-click-to-run-extensibility-component/ 이 글을 참고하니 한 번에 깔금하게 해결되었다. 레지스트리 삭제하고 해당 폴더 삭제하라고 되어 있다. 직접해보니.... 레지스트리는 비슷한게 3개 나온다. 3개 전부 office 15 click-to-..
원도우 7 mstsc 포트 쉽게 변경하는 방법, 원격접속 포트 변경 방법 원도우 7으로 원격접속을 할려면 mstsc 명령어로 3389 포트로 접속하면 된다. 3389 포트가 이미 알려진 포트이기에 변경하는 것이 좋다.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에서 2개의 값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상당히 귀찮은 작업인데... 네이버의 어떤 블로거가 친절하게 배치파일로 만들어 둔 것이 있다. 컴을 잘 아는 사람들은 잘 활용하겠지만... 잘 모르는 사람들은 헤멜 것 같다. http://blog.naver.com/hks9999/30091615757 여기서 첨부된 배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사용방법 : mstscportchange 8080 [출처] 원격터미널(MSTSC) 포트변경|작성자 hks9999 사용방법이라고 ..
원도우에서 대용량파일, 수 많은 파일 존재하는 폴더 빠르게 삭제하는 방법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런 경우가 별로 없을 듯 하다. 이런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된 파일과 폴더가 아닌 어떤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된 폴더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했는데 자동으로 엄청 많은 파일과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시스템이라면 나중에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 했을 때 남아있는 폴더와 파일을 삭제할 때 어려움을 겪게된다. 생각만큼 잘 삭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삭제 할 때 관리자 권한 어쩌구 저쩌구 하는 팝업이 뜨면서 주기적으로 체크해야하는 일이 발생 할 수 있다. 그런게 싫다면... "시작" - "실행" - "cmd" 즉, 도스모드에서 관련 명령어로 폴더 째 삭제를 해주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