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파티션 추가하는 방법 아래는 일단 하드디스크에 공간이 남아있다는 가정하에... 약 250기가의 하드에 파티션을 주고 그 파티션에 레이블을 opt를 주고.... 부팅 시 /opt 에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설정한 것을 나타낸 것입니다. 물론 아래 방식이 정답은 아닙니다. 방법은 많이 있겠죠.. [root@vash ~]# fdisk -l Disk /dev/sda: 160.0 GB, 16004188569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9457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13 104391 83 Li..
#cat /var/log/secure 이렇게 치면 최근 접속 시도한 리스트가 보입니다. 자신이 알고있지 않은 아이피에서 접속 시도를 했다면... 해킹시도이죠 #last 이렇게 치면 접속 성공을 알 수 있는데 본인이 모르는 아이피가 있다면 이미 해킹을 당한 것입니다. 막는 방법은... 비밀번호를 어렵게 만드세여~~~~~ 아래는 해킹을 시도한 아이피 정보입니다. 저 아이피가 정말 해커의 아이피일지 아니면 숨겨서 들어온 아이피일지는 알 수가 없네용... Mar 4 11:17:47 vash sshd[22393]: pam_succeed_if(sshd:auth): error retrieving information about user espinoza Mar 4 11:17:49 vash sshd[22393]: Fai..
리눅스 해킹 시도 간단히 알아보기 #cat /var/log/secure 이렇게 로그를 보면... 접속 이력을 알 수 있는데... 아래의 로그는 계속 해킹을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비밀번호를 계속 시도하는 것이죠.. 저렇게 사전에 비밀번호 파일로 계속 시도하다가 맞는게 있으면 뚫리는 것이죠. ssh 포트가 기본 22번인데.. 이것을 변경하시면 보안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비밀번호도 어렵게 변경하시구요.. 길면 길수록 안전하다는 말씀 Feb 24 10:22:08 rhel sshd[20522]: Failed password for root from 69.13.196.47 port 44655 ssh2 Feb 24 10:22:08 rhel sshd[20523]: Received disconnect from 69.1..
오라클 10g 설치 시 OUI-25031 에러 해결법 속 시원한 해결 방법이 어디에도 없네요..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호스트네임이 차이나서 그렇더군요.. 저기 아래 보이는 호스트 네임을 동일하게 주세요... DHCP 권장이지만 고정 아이피로도 설치 됩니다.. 이렇게 하니 장애가 확실히 없어졌네요... 하하하하하하... /hosts 파일 수정 #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27.0.0.1 localhost IP주소 ccu_oracle /etc/sysconfig/network 리눅스 호스트 이름 변경 vi 에디터로 오픈하여..
리눅스 crontab 사용방법 crontab 이라는 명령어는 윈도우로 따지면 작업스케쥴과 비슷하겠습니다. 즉, 특정 시간에 원하는 작업이 저절로 실행될 때 사용을 합니다. 하지만, 현업에서는 정말 중요한 job이 돌 때는 crontab 을 설정 해 놓지만 사람이 그 시간에 정말 작업이 돌고 있는지 확인을 하지요.. crontab [-l][-e][-r] 이렇게 주로 사용합니다. /var/spool/cron 여기에 해당 파일이 있으며 관리자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cron table 작성 시에는 .... 분 시 일 월 요일 + 명령 행 이런 조합으로 되는데 능숙하게 사용 하실려면 예제를 많이 보는 방법이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분 0~59 시 0~23 일 1~31 월 1~12 요일 0~6 , 0=일요일 , ..
원도우 시작프로그램들 삭제하는 방법 여기서 삭제는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삭제하는게 아니고... 원도우 시작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막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계시겠지만... 알약에서도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죠??? 일단... 원도우에서 시작 - 실행 - msconfig 이렇게 치면 관련 프로그램이 뜹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 프로그램의 탭 중에... 시작프로그램을 선택 후,,,,, 명령을 좀 잘보이게 칸을 넓힌 후에... 부팅 시 바로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고픈 프로그램을 체크를 없앱니다. 바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이 많으면 원도우 부팅 시간이 올래걸리거나... 부팅 후에 버벅거리는 증상이 심하죠... 이렇게 적용하고 리부팅을 하면 이 프로그램과 관련된 이벤트 메시지가 뜨..